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언제나 든든한 내편중구

전체메뉴 닫기 버튼

일자리(취업)

협동조합

  • 일자리(취업)
  • 사회적경제
  • 협동조합
프린트 전자 점자 다운로드 전자 점자 보기

협동조합은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 하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 입니다.

협동조합의 종류

협동조합의 종류 안내: 구분,일반협동조합,사회적협동조합으로 구성
구분 일반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법인격 영리법인 비영리법인
설립 시/도지사 기획재정부
사업 업종 및 분야 제한 없음 공익사업 40% 이상
법정적립금 잉여금의 10/100 잉여금의 30/100
배당 배당가능(단, 납입출자금 10/100 초과금지) 배당금지
청산 정관에 따른 잔여재산 귀속 잔여재산의 비영리법인, 국고 등 귀속

협동조합의 유형

협동조합의 유형 안내 : 소비자협동조합, 조합원의 소비생활 향상을 위한 물품의 구매 또는 서비스의 이용으로 구성
소비자협동조합 조합원의 소비생활 향상을 위한 물품의 구매 또는 서비스의 이용 예) 통신협동조합, 공동육아협동조합, 주택협동조합의 주택임대서비스
생산자협동조합 생산자 수익창출을 위한 공동판매/공동자재구매/공동브랜드 등 예) 전통시장상인협동조합, 공동브랜드식당·미용실·숙박업, 진영 감 협동조합
직원협동조합 특정 사업을 영위하기 위해 직원이 조합을 소유/관리/일자리 마련 예) 대리운전협동조합, 청소협동조합, 퀵서비스협동조합
다중이해협동조합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복리증진 등에 기여하는 행위 예) 독거노인도시락배달협동조합(생산, 소비, 직원고용, 자원봉사, 후원 등 다양한 형태)
사회적협동조합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유형의 이해관계자로 구성, 전체 사업의 40% 이상 공익사업 수행 예) 취약계층에게 육아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육사회적협동조합(교사/자원봉사/후원 등)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

협동조합과 사회적 협동조합 비교표 : (일반)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으로 구성
(일반)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발기인 모집(조합원 자격을 갖춘 5인 이상) 발기인 모집(5인 이상)
정관 작성(목적,명칭, 조합원 등 14가지 필수항목 기재) 정관 작성(목적,명칭, 조합원 등 14가지 필수항목 기재)
설립동의자 모집 설립동의자 모집 (5인이상,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 2인 이상 포함)* 의료사회적협동조합은 500인 이상
창립총회(설립동의자 과반수 출석, 2/3이상 찬성 창립총회(설립동의자 과반수 출석, 2/3이상 찬성
설립신고(구청장) 설립인가(중앙행정기관의 장)
사무 인수인계(발기인->이사장) 사무 인수인계(발기인->이사장)
출자금 납입(조합원->이사장) 출자금 납입(조합원->이사장)
설립등기(관할 등기소) 설립등기(관할 등기소)
협동조합(법인격 부여) 사회적협동조합(법인격 부여)

협동조합 설립절차

  • ① 발기인모집(5인 이상) → ② 정관작성 → ③ 설립동의자 모집→ ④ 창립총회 의결(설립동의자 과반수 출석, 출석2/3찬성) → ⑤ 설립신고(구청장) → ⑥ 사무 인수인계(발기인⇒이사장) → ⑦ 출자금 납입 → ⑧ 설립등기(관할등기소)

협동조합 상담센터

  • 서울시 협동조합 상담지원센터: 1544-5077
  • 사회적협동조합 상담: 070-7600-5101 (신나는 조합)
담당부서 : 일자리경제과 02-3396-5295

최종수정일 : 2023-12-06

해당 메뉴에 대한 만족도를 알려주세요.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