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중구 문화관광 로고

모바일 전체 메뉴
사이트맵 닫기

중구관광

김용환 동상

김용환은 반공대열의 선두에서 동포의 단결과 민단의 육성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생전 그의 공로를 기리기 위해 1970년 국립극장 입구에 동상을 설립하였습니다.

개요

민단을 위해 일한 공로로 동상 건립
경북 의성 출신의 김용환은 일본에서 거류민단이 창단된 이래 20여 년 동안 민단의 육성과 반공활동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재일동포의 단결에 큰 공을 세운 인물입니다.
작은 공장을 경영하던 김용환은 거류민단의 아이치현 본부단장이 되어 활동을 벌이다 1968년 11월 13일 민단 5층 회의실에서 제9차 지방위원회를 주재하던 중 괴한의 습격을 받아 51세의 나이로 숨을 거뒀습니다. 생전 그의 공로와 안타까운 죽음을 기리기 위해 재일동포 성금과 정부의 적극적 후원으로 1970년 10월 2일에 그의 동상이 이곳에 세워졌습니다.
재일본 대한민국 민단이란?
광복 후인 1945년 10월에 재일동포들이 재일조선인연맹을 조직했습니다. 그러나 좌익과 우익의 이념대립이 극심해졌고 친 공산주의 계열인 재일조선인연맹에서 반공 이념을 가진 청년들이 이탈하여 조선건국촉진청년동맹을 결성했습니다. 이후 조선건국촉진청년동맹과 신조선건설동맹 중심으로 1946년 10월 3일 일본의 히비야 공회당에서 재일본조선인거류민단이 설립되었습니다. 1948년, 1949년에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주일한국대표부 설립 후 명칭이 재일본 대한민국 거류민단으로 바뀌었습니다.
1994년에는 재일본 대한민국 민단으로 이름을 변경했으며, 약칭 민단이라고 합니다.
원래 민단은 한국 국적을 가진 사람만 단원으로 가입이 가능했으나 2005년부터는 한반도에 뿌리를 두고 있는 사람들도 가입할 수 있게 됐습니다.
재일교포의 민생안정과 교양 향상 등의 목적으로 창설된 민단은 재일교포의 권익 보호와 지문날인 철폐 운동 등을 펼쳐 왔습니다. 현재는 지방본부 49곳과 지부 354곳의 규모로 성장했습니다.
호국과 충절을 되새겨 볼 수 있는 공간
김용환 동상이 있는 이곳 근처에는 장충단비, 수표교, 숭정전, 관성묘 등의 문화재가 있어 산책하면서 둘러보기에 좋은 환경입니다. 또한 김용환 동상과 더불어 이준열사 동상, 유관순열사 동상, 3·1운동기념탑, 만해 한용운 시비 등 호국과 충절에 관련한 조형물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나라 사랑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 볼 수 있는 장소이기도 합니다.

상세정보

  • 도로명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장충단로 59 국립국장 입구 지도보기